한국의 스타트업-(183)솔버 김정태 총괄본부장
금요일 정오. 식사를 하러 나온 사람들로 거리엔 온통 차가 뒤엉켜 있다. 유명 식당이 있는 건물 앞이나 골목길에는 진입을 하기도 힘들 정도로 차가 꼬리에 꼬리를 문다. 슬쩍 끼어들기라도 하려다간 사방에서 삿대질과 경적을 각오해야 한다. 운전을 잘 하는 사람도 이쯤되면 짜증이 날 법.
이때! 어디선가 오렌지색 유니폼을 입은 사람이 나타난다. 그는 혼잡한 도로에 서 있는 한 차량으로 간다. 차주에게 차 키를 받아들고 차를 몰고 유유히 사라진다. 차주인 여성은 뒤엉켜있는 다른 차 주인들의 부러움 섞인 시선을 한 눈에 받으며 식당 안으로 표표히 사라진다.
이 여성은 주차대행 서비스 솔버에 연락을 했다. 솔버의 발렛파킹 전문가가 나와서 주차를 고민하는 이 여성 대신 주차를 해 준 것이다.
지금까지 주차난을 겪는 운전자들의 어려움을 해결해 주겠다며 다양한 서비스가 나왔지만 이런 서비스는 처음이다! 처음 이 서비스의 개념을 들었을 때 ‘별천지’ 였다. 그래, 이런 생각도 가능하구나. ‘발상의 전환’이라기보다는 한 분야의 고수가 내놓을 수 있는 해결책이란 생각이 들었다.
이 서비스를 만든 김정태 솔버 본부장은 한 분야에서 오랫동안 경험을 쌓으면서 확실하게 문제의식을 갖고 있었다. 문제의식에 그치지 않고 그것을 해결하기 위한 자신만의 방안을 만들었다. 일견 듣기에도 신선한 충격을 줄 만한 아이디어였다. 그리고 그것은 그야말로 기존 시장의 판도를 흔들 수 있겠다는 생각을 주기에 충분했다. 사람에 따라서는 그의 아이디어에 대해 ‘충격적’이라는 반응을 보일 수도 있겠다.
그리고 나는 이런 생각이 들었다. 어떤 분야든 혼신을 다해 그 분야에 매진하고 끊임없이 문제의식을 갖고 있다면 남들이 보지 못하는 새로운 것을 발견할 수 있다는 것. 한국의 스타트업 일백여든세번째 주인공은 주차대행 서비스 솔버의 창업자 김정태 본부장이다.
발렛파킹 13년 경력자의 문제의식
김정태 본부장은 발렛파킹 분야에서 13년을 종사했다. 13년! 한때 대리운전 사업을 하기도 했던 그는 2002년부터 본격적으로 발렛파킹 분야에 뛰어들었다.
처음에 그는 발렛파킹 일을 잠깐 하는 일로 생각했다고 한다. 계기도 우연히 이뤄졌다. 아는 식당에서 주차를 하려는 손님이 너무 많이 몰려 주차를 대신 해주는 일을 하다가 그 모습을 본 주변 식당에서 하나둘씩 요청이 왔다.
“이거 사업이 되겠는걸?” 이렇게 생각한 그는 아예 사업자 등록을 하고 발렛파킹 사업을 시작했다. “‘주차대행’이라는 사업자로 등록을 한 사람은 아마 제가 처음일걸요? 하하”
발렛파킹을 하면서 그는 이 시장의 문제점을 알게 됐다. 우선 주차시설은 한정돼 있는데 차량이 늘어나면서 발렛파킹을 원하는 사람들이 너무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는 것.
“청담동이나 압구정동 등 강남에서 사람들이 식당을 잡을 때 뭘 제일 먼저 보는지 아세요? 그 식당에 발렛파킹이 되는지를 확인합니다. 안되면 그 식당에 안가요. 발렛파킹이 되는지 보고 그 다음에 음식의 맛과 식당 분위기를 살펴볼 정도에요.”
그의 말이 사실이라면 식당으로선 무조건 발렛파킹을 도입할 수밖에 없다. 그런데 이게 비용이 만만치 않다. 식당은 발렛파킹 업체와 계약을 맺고 업체는 식당에 직원을 파견한다. 일반 고객들이 식당 등에 갔을 때 마주치는 발렛파킹 해주는 사람이 바로 이 사람들이다. 1명을 쓰는데 매달 300만원 안팎의 비용이 든다. 고객이 많아지면 사람이 더 필요하다. 3명만 파견을 받아도 1000만원에 육박한다. 그런데 고객이 항상 많은 것은 아닐 터. 분명히 식사시간, 밤 시간 등 특정 시간대에 몰리는 경향이 있다.
“고객이 몰릴 때는 주차대행해주시는 분들을 여러명 고용하고 그렇지 않을 때는 1명만 고용하고 이렇게 하면 좋겠죠. 하지만 대부분의 발렛파킹 용역업체들이 그렇게 탄력적으로 운영을 하질 않아요.”
비용이 부담이 되다보니 대부분의 발렛파킹 운영 매장에서 비용의 일부를 고객에게 받고 있다. 발렛파킹을 하면 1000원, 2000원을 내는 게 이런 경우다. 서비스 품질 관리가 되지 않는 것도 그가 발견한 문제점. 용역업체들이 대부분 영세하게 운영되다보니 친절한 발렛파킹 서비스는 기대하기 어려운 게 현실이다.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
왜 고객이 주차창을 찾아 헤매야 하는가!
2012년부터 김정태 본부장은 고민하기 시작했다. “발렛파킹 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하고 싶어도 비용부담 때문에 못하는 음식점, 매장들이 많아요. 그런 집 중에는 정말 맛집도 많고, 발렛파킹을 제외하면 다른 서비스가 훌륭한 곳도 많죠. 그런 곳이 발렛파킹이 된다면 고객도 좋고, 중소상공인과 자영업자에게도 득이 되는 것 아니겠습니까.”
그가 볼 때 문제 해결은 간단했다. 고객의 입장에서 가장 편한 것이 무엇일까. 식당을 갈 때 발렛파킹이 되는지 미리 알아보는 수고를 할 필요도 없고, 어딜 가든 편하게 주차를 맡기고 들어가는 방법. 그 고객이 있는 곳에 주차를 대신 해주는 사람을 보내면 되는 것이다!
“주차 문제를 해결해주기 위한 서비스들이 많이 나왔더라구요. 그런데 그건 고객에게 수고를 전가하는 거라고 생각했어요. 예를 들어 고객에게 식당 근처 주차할 건물을 찾아준들 결국은 그 고객이 그 건물을 찾아서 가야하는 거거든요. 고객으로서는 주차장을 찾아야 하고, 차를 대고 나와서 다시 걸어서 자신의 본래 목적지(식당이든, 백화점이든)로 가야하는 거죠. 주차 공간이 있다고 해서 갔다가 허탕을 치는 경우도 많구요.”
‘왜 고객이 주차장을 찾아 헤매야하는가!’ 이게 그의 서비스 정신이다. “주차는 전문가에게 맡기시면 되요. 더 이상 사랑하는 사람과의 만남을 주차 때문에 망치거나 주차 때문에 만남의 시간이 줄어들어서는 안된다는 게 저의 생각입니다.“
2012년부터 이런 생각을 했지만 구체화되는데는 시간이 좀 걸렸다. “일단 앱 개발이 쉽지 않았다. 제가 워낙 이런 분야에 전혀 아무런 감이 없어서요, 처음엔 외주를 맡겼죠. 그래서 앱이 나왔지만 전혀 마음에 들지 않았어요. 두 번을 엎었어요. 결국 지금의 창업팀을 꾸리고 나서야 앱이 나올 수 있었습니다. 직접 만들어야되더라구요.”
회사명, 서비스명은 솔버(Solver)로 정했다. 문제를 해결해주겠다는 뜻. 솔버를 실행하고 마치 우버를 쓰듯 내가 가는 매장 위치를 클릭한 뒤 서비스를 요청하면 끝이다. 그러면 해당 장소에 주차대행자, ‘솔버맨’이 달려온다. 키를 맡기고 그냥 가면 된다. 나올 때 다시 솔버맨을 부르면 차를 몰고와 갖다 준다.
앱을 만들기 전에 가장 중요한 것은 주차대행을 할 만한 ‘선수’들을 모으는 것이었다. 그의 경력으로 이 부분은 어렵지 않게 해결됐다. 창업멤버도 구성됐다. IT 분야 경영 경험이 있는 길아성씨가 대표이사를 맡았고, 소셜커머스 플랫폼 등을 개발한 경력이 있는 이정욱씨가 CTO(최고기술책임자)를, 영업 및 운영은 오경석 COO가 맡았다. 김정태 본부장은 주차대행 현장을 총괄하는 책임자다.
주차가 끝이 아니다
초기엔 서비스 안착을 위해서 강남 일대를 서비스 지역으로 정했다. 하지만 서비스를 강남에만 국한할 생각은 추호도 없단다. 그가 추산하기에 서울 시내 주차 대행 서비스 시장만 1조원. 강남에만 매일 200만대의 차량이 출입한다. 서울 시내 뿐 아니라 에버랜드, 종합운동장(야구장) 등 차량과 인파가 몰리는 곳은 어디든 서비스 대상지다.
솔버는 편리하기만 한 게 아니다. 차를 맡기면 1시간 기본 이용료가 5000원. 2시간이면 8000원이다. 1시간 이후로는 10분에 500원이니까 강남에서는 그냥 기본 주차장 이용 금액 정도밖에 안된다.
주차를 대신해주는 것이 끝이 아니다. 바쁜 고객은 차를 맡기면서 다른 일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엔진오일을 간다던가, 차량 정기점검을 한다던가, 세차를 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비만 부담하면 끝.
카드사나 커피매장과 제휴를 해 포인트, 할인쿠폰 등을 발급하는 것도 준비하고 있다고 한다. 식사를 하고 커피 한 잔 하러 이동하려는 사람이 많다. 솔버를 이용하면 차는 그대로 두고 할인쿠폰을 받아 저렴하게 커피도 마실 수 있다.
서비스 신뢰를 위해 솔버는 고객이 솔버맨을 부르면 주차대행을 해주는 사람의 이력과 사진을 띄워준다. 얼굴 확인을 하라는 뜻이다. 차량을 받으면 계기판, 미터기, 기름 게이지 등을 사진으로 찍어서 보내준다. 차량에 흠이 있는지 없는지 등도 미리 알려줘 불필요한 오해를 방지한다.
“등록 승용차 수가 2000만 대를 넘겼다고 하고, 차가 너무 많다고들 하죠. 하지만 그래도 주차 공간은 반드시 있습니다. 그걸 저는 대한민국에서 가장 잘 안다고 자부합니다. 이제 주차 걱정은 하지 마시길.”